4) 진경산수화와 풍속화
(1) 회화
① 17세기 초
화가 | 그림 | 내용 | 화풍 |
이징 | 연사모종도, 노안도 | 주로 인물과 산수 | 명나라 절강화풍 영향 |
김명국 | 달마도, 설중귀려도 | 굳고 거친 필체와 흑백 대비 독특한 묵법 | 절파화풍, 선종화 |
② 17세기 말
화가 | 그림 | 내용 | 화풍 |
윤두서 | 자화상, 백마도 | 주로 인물과 말 | 청의 남종화 영향 |
③ 18세기 전반 : 진경산수화 유행
- 특징 : 중국 북종화법의 선묘와 남종화의 묵법 고루 수용한 우리 고유한 화법
화가 | 그림 | 내용 | 화풍 |
정선 |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 서울 근교 및 금강산 등 명승지 사실적 묘사 | 진경산수화 |
심사정 | 강상야박도, 하경산수도 | 정선 제자, 남종 문인화 정립과 북종화법 절충한 산수화 | |
변상벽 | 추자도, 묘작도 | 변고양이 별명, 영모화 및 초상화 |
④ 18세기 후반 : 풍속화 유행
화가 | 그림 | 내용 | 화풍 | |
김홍도 | 밭갈이, 씨름, 서당, 소림명월도, 신선도병풍 | 서양의 훈염기법 수용, 자연 사실 그대로 실경산수화, 농촌 서민 생활상 | 풍속화 | |
신윤복 | 단오풍정, 달밤의 여인, 미인도 | 양반과 부녀자 생활및 유흥, 남녀 애정 등 해학적 묘사 | ||
김득신 | 파적도, 야공도 | 김홍도와 같은 경향 | ||
김두량 | 월야산수도, 맹견도 | 남종화법과 서양화법 수용 |
⑤ 18세기 말
- 특징 : 서양화법의 영향으로 원근법과 명암법 사용
화가 | 그림 | 내용 | 화풍 |
강세황 | 영통골 입구도 | 한국적 남종문인화풍 정착 공헌 | 서양수채화 기법 |
⑥ 19세기
- 특징 : 중국 문인화의 부활로 진경산수화와 풍속화의 침체, 문인화와 기록화 유행
화가 | 그림 | 내용 | 화풍 |
김정희 | 세한도, 난초 | 직업화가가 아닌 순수 문인들의 여기로 그린 그림 | 복고 및 문인화풍 |
장승업 | 홍백매도, 군마도 | 강렬한 필법과 채색법 |
|
(2) 민화의 발달
① 배경 : 경제적 부를 축적한 서민층의 문화적 욕구 충족, 기복 신앙적 측면에서 제작
② 특징 : 무영화가나 떠돌이 화가에 의해 그려져 작가 미상 대부분, 서민의 오랜 생활 양식과
밀착되어 창의성 보다는 형식성, 소망의 기원
③ 민화의 종류 : 화조도·어해도·영모도·십장생도·무속도 등
(3) 서예의 발달
① 18세기
- 이광사(1705~1777) : 우리 정서와 개성을 추구 단아한 동국진체 완성
② 19세기
- 김정희(1786~1856) : 고금의 필법을 바탕 추사체 창안 새로운 경지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사회 전개(19세기 후반의 세계) (0) | 2019.10.23 |
---|---|
근대 태동기 문화(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3) (0) | 2019.10.22 |
근대 태동기 문화(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1) (0) | 2019.10.18 |
근대 태동기 문화(과학 기술의 발달 2) (0) | 2019.10.16 |
근대 태동기 문화(과학 기술의 발달 1) (0) | 201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