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사회(고려 후기 정치변동) 신진사대부 성장
4) 신진 사대부의 성장
(1) 등장
① 무신 집권기에 등장 : 최우의 서방을 통해 등장
② 충선왕 : 사림원을 통해 성장
③ 성리학(정치 이념)을 바탕으로 과거 통해 진출(명분과 도덕 중시)
④ 공민왕 때 중앙 진출 성장, 향리, 하급관리 출신
(2) 특징
① 과거로 진출, 성리학자
② 재향 중소지주 출신, 친명외교
③ 개혁 추구, 실천적
④ 종류
㉠ 온건파 사대부(정몽주) : 고려 왕조 유지, 점진적 개혁 주장
㉡ 급진파 사대부(정도전) : 새로운 왕조, 사회문제 해결 주장
(3) 성리학
① 전파
㉠ 충렬왕 때 안향에 의해 고려 전파
㉡ 충선왕이 만권당을 설치하여 조맹부, 이제현 교류
㉢ 남송의 주희가 인간의 본성과 우주의 근본 원리를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신유학인 성리학 집대성
② 영향
㉠ 신진 사대부의 사회 개혁 사상 수용
㉡ 권문세족의 부패와 불교의 폐단 비판(정도전 : 불씨잡변)
* 고려의 세력 변화
구분 문벌 귀족 권문 세족 신진 사대부
성장 성종 무신정권 붕괴 후 무신정권 등장, 공민왕 세력화
출신 호족, 6두품, 공신 귀족, 무신, 친원세력 향리, 하급관리
등용 과거, 음서 음서(도평의사사 독점) 과거(유교적 소양)
경제 과전, 공음전 대농장(부재지주) 재향 중소지주
대외 친송, 금과 사대관계 친원 외교 친명 외교
정치 보수적, 사대적 보수적 개혁적, 진취적
종교 불교 불교 불교비판
학문 유교적(훈고학) 비유학자 유학자(성리학, 관료적)